총 12건
-
A.
* 2025년 2학기부터 일반대학원 학위논문 심사 전 과정에서 생성형 AI 도구 활용과 관련한 연구윤리 기준이 강화됩니다. 연구부정행위를 예방하고, 책임 있는 연구 수행을 위해 다음 사항을 반드시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1. 생성형 AI를 논문에 써도 되나요?
- 생성형 AI(ChatGPT, Gemini, Claude 등) 도구의 활용은 학위논문(연구계획서 포함)의 성격, 지도교수의 판단에 따라 허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며,
무분별한 사용은 연구부정행위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사용 자체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AI가 제공한 내용을 직접 인용하거나 활용할 경우, 그 진실성에 대한 책임은 학생 본인에게 있습니다.
- 반드시 본인의 지도교수님과의 사전 상의 및 지도하에 생성형 AI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과 같은 경우 표절, 위조, 변조 등의 연구부정행위로 간주되어 학위논문 심사 불합격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생성형 AI가 제공한 정보를 출처 확인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 AI 도구를 사용했으나 활용 사실을 은폐하거나, 논문에 명시하지 않은 경우
* AI가 생성한 텍스트나 자료를 본인 창작물인 것처럼 명시 없이 사용하는 경우
2. 생성형 AI 사용 시 유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연구의 진실성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학생 본인에게 있음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AI가 만든 결과물이라도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으며, AI가 틀린 내용을 제공했다고 해도 면책되지 않습니다.
- 생성형 AI는 아이디어 탐색과 정리, 문장 교정 등 보조적인 용도로만 제한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논문 전체를 AI에 의존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 생성형 AI가 제공한 정보는 사실 여부를 반드시 검토해야 하며,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정보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
A.
아래 한국어능력시험(TOPIK) 관련 사항은 본인의 학업 및 졸업 요건과 직접 관련되오니, 반드시 내용을 숙지하여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以下有关韩国语能力考试(TOPIK)的事项与您的学业及毕业要求直接相关,请务必认真阅读并充分了解,以免造成不必要的损失。
1)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미만 취득자
법무부 및 교육부 지침에 따라, TOPIK 3급 미만 취득자는 본교 한국어교육센터에서 입학 후 1년 이내에 300시간의 한국어특별과정을 반드시 수료해야 합니다.
해당 과정은 필수 지정 과정이며, 미이수 시 학업 진행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료 기준 미충족 시 추가 이수 필요)
2) 한국어능력시험(TOPIK) 관련 졸업 필수요건
법무부 및 교육부 지침에 따라, 모든 외국인 유학생은 졸업 전까지 TOPIK 4급 이상을 반드시 취득해야 합니다.
이는 본교 논문제출 자격시험 중 ‘외국어시험 과목’과는 별도로 요구되는 졸업 요건입니다. (단, 예체능 계열은 TOPIK 3급 이상 취득)
3) 어학자격증(TOPIK 등) 성적증명서 제출 안내
입학 후 어학자격증을 새롭게 취득한 경우, 반드시 일반대학원 행정실을 방문하여 성적증명서를 제출해주시기 바랍니다.
예시)
입학 시 TOPIK 4급을 제출했으나, 재학 중 TOPIK 5급을 새롭게 취득한 경우 → 성적증명서를 지참하여 행정실에 방문 제출
※ 단, 제출하는 TOPIK 성적은 유효기간 내 성적증명서여야 합니다.
※ 어학자격증은 반드시 행정실을 방문해서 제출해야 하며, 현재 본국으로 귀국한 경우 친구를 통해 제출할 수 있음
※ 토픽 성적표를 제출할 때 오른쪽 상단에 학번을 반드시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성적증명서를 제출한 후에는 1주일 이내에 TRINITY 시스템을 통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반드시 본인이 직접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어학자격증 미제출 시 졸업 요건 충족, 장학금 수혜 등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TOPIK 3级以下者必须完成韩国语特别课程
根据韩国法务部及教育部的规定,未取得TOPIK3级的学生,须在入学后1年内在本校韩国语教育中心完成300小时的韩国语特别课程。
该课程为必修课程,如未完成,将可能影响学业进程。(若未达到修了标准,则需追加修读)
2) 毕业前TOPIK等级要求(毕业必要条件)
根据韩国法务部及教育部的规定,所有外国留学生在毕业前必须取得TOPIK 4级以上成绩。
该要求为毕业必备条件,与本校论文提交资格考试中的“外语考试科目”无关,需另行满足。(艺术类专业学生须取得TOPIK 3级以上)
3) 语言能力证书(如TOPIK等)成绩证明提交通知
若您在入学后新取得了语言能力证书,请务必亲自前往一般研究生院行政办公室提交成绩证明。
例如:
入学时已提交TOPIK 4级,但在在学期间又取得了TOPIK 5级 → 请携带成绩证明亲自到行政办公室提交
※ 注意:所提交的TOPIK成绩必须为有效期内的正式成绩证明。
※ 语言能力证书必须亲自前往行政办公室提交,若目前已返回本国,可委托朋友代为提交。
※ 提交TOPIK成绩单时,请务必在右上角填写学号。
此外,提交成绩证明后,请务必在一周内通过 TRINITY 系统确认成绩是否已正常注册。
如未提交语言能力证书,可能会影响毕业资格认定及奖学金的获得,由此产生的一切责任将由本人承担,敬请注意。
- 提交处 : 김수환관 K340 , 일반대학원 교학팀
-
A.
안녕하세요. 일반대학원교학팀 입니다.
문의사항이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아래의 양식을 작성하여 전자메일(cukgs@catholic.ac.kr)로 송부 바랍니다.
간단한 문의사항은 담당자 통화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입학/장학/학적/등록: 02-2164-4177
졸업/논문/지도교수: 02-2164-4106
외국인/장학조교/학석사연계: 02-2164-5624
수업/학점인정: 02-2164-4474
-
A.
논문 표절 방지시스템(카피킬러) 이용은 어디서 하나요?
1. 가톨릭대학교 트리니티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을 한 후 나의 정보 아래에 있는 논문유사도 검사를 클릭합니다.
(개인정보 동의 1회 필요)
3. 카피킬러 홈 화면입니다.
① 언어 선택 가능 (한국어, 영어)
② 사용법 안내
③ 사용 메뉴
-
A.
*얼마동안 휴학이 가능한가요?
휴학기간은 1회 2학기(1년)을 초과할 수 없으며, 총 휴학기간은 석사는 4학기, 박사 및 석박통합은 6학기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증명서 발급은 어떻게 하나요?
대학원의 각종 증명서는 ①온라인 증명발급(http://catholic.certpia.com)(즉시발급/우편발송), ②종합행정지원센터 방문발급, ③어디서나 민원(FAX민원) 중 편리한 것을 이용하여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89학번 이전 입학생들의 경우, 온라인 증명발급의 즉시발급(가정출력)은 불가합니다)
-
A.
*연구등록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연구등록은 정규학기(석사 4학기, 2015학번 이전은 박사 6학기, 2015학번부터는 박사 4학기, 석박통합은 8학기)를 지나 논문을 제출하기 위한 등록입니다. 즉 석사는 5차학기부터 박사는 5차학기 또는 7차학기부터 , 석박통합은 9차학기부터 연구등록 대상이 되며 연구등록은 논문제출시한(2016학번 이전은 석사 5차-12차, 박사 7차-20차, 석박통합은 9차~24차, 2016학번부터는 석사 5차~6차, 박사 5차~8차, 석박통합 9차~14차)까지 1회만 납입하시면 됩니다.
*얼마동안 휴학이 가능한가요?
휴학기간은 1회 2학기(1년)을 초과할 수 없으며, 총 휴학기간은 석사는 4학기, 박사 및 석박통합은 6학기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증명서 발급은 어떻게 하나요?
대학원의 각종 증명서는
①온라인 증명발급(http://catholic.certpia.com)(즉시발급/우편발송),
②종합행정지원센터 방문발급,
③어디서나 민원(FAX민원) 중 편리한 것을 이용하여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89학번 이전 입학생들의 경우, 온라인 증명발급의 즉시발급(가정출력)은 불가합니다) -
A.
*장학금의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일반대학원의 모든 장학금은 본인의 신청과 소속 학과에서의 추천이 필요합니다. 신청시기는 학기중에 이루어지며, 장학금의 지급 기준을 확인하시고 해당자는 각 학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장학금의 지급시기는 언제인가요?
장학조교, 연구조교 장학금을 제외한 대다수의 교내 장학금은 학기중에 별도로 진행되어 지급됩니다. 장학조교, 연구조교 장학금의 경우는 장학금액을 반으로 나눠서 한 학기에 두 번 지급합니다.
장학생으로 선발된 학생으로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경우, 장학금 지급을 중지하거나 환수한다.1. 휴학자2. 제적 및 자퇴자3. 근로 평가가 불량한 자4. 기타 부적격자로 인정된 자 -
A.
*논문지도교수는 언제 정해지나요?
학과 주임교수님과 입학 후 1년 이내 지도교수 승인신청서를 작성하여 대학원 교학과로 제출하면 됩니다.
*논문지도교수는 본 대학원 교수만 가능한가요?
부득이한 경우 타 학과 교수 또는 외부교수에게 의뢰할 수 있으나 외부교수인 경우에는 대학원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학위청구논문 제출 자격이 어떻게 되나요?
각 과정의 수료학점(학과 자체 내규 부합)을 취득, 논문제출 자격시험에 합격(외국어시험, 종합시험)한 자, 또한 보충과목의 학점이수를 마친 자, 대학원생 연구윤리 교육을 이수한 자의 경우 제출 자격이 부여됩니다. 박사과정의 경우 위 사항이 모두 충족되어야 하며 추가로 박사학위논문연구계획서 심사에 합격한 자 이어야 합니다.
*박사학위논문 연구계획서 제출 자격 및 시기는 어떻게 되나요?
연구계획서 제출 자격은 박사는 3차 학기, 석박통합은 5차 학기 이상 등록을 마친 자이며, 연구계획서 제출 시기는 박사는 3차 학기, 석박통합은 5차 학기 이상 등록을 마친 이후부터 박사학위청구논문 제출 직전학기까지 입니다. (연구계획서 심사에 합격 한 이후 학기부터 박사학위청구논문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논문심사 중 논문제목변경은 가능한지요?
논문제목변경은 제출 학생과 심사위원들 간의 협의 및 논문 수정으로서 변경이 가능한 사항으로서, 교학팀에서는 논문제목변경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석,박사 공히 본 심사를 마치고 본 심사 결과 제출일까지 논문 제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행정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본 기한 전까지 논문 제목을 변경하고자 하는 학생은 대학원 홈페이지의 각종서식란의 <학위청구 논문제목 변경 신청서>를 작성하시어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논문제목을 변경 신청하지 않고 학생 임의로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논문을 제출기일보다 늦게 내면 안되나요 ?
논문제출기일은 반드시 학과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기일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본교는 7월 및 1월 중 학생의 졸업사정에 대한 위원회가 개최되며, 이때 논문이 제출되지 않은 학생은 졸업자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논문제출학생들은 반드시 이점을 유의하시어 해당학기 졸업이 가능하도록 논문제출 일정을 반드시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학위수여년월 / 인준년월이 뭐지요 ?
혼동하기 쉬운 <겉표지>의 -학위수여년월-과 <인준서>상의 -인준년월- 의 차이를 알려드립니다.
-학위수여년월- 은 말 그대로 본인이 졸업하여 학위를 수여받는 년월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이번 12월에 논문을 제출하시는 분은 2009년 2월 졸업을 하게 되므로 학위수여년월은 2009년 2월로 적으시면 됩니다. 2009년 8월 졸업자는 2009년 8월로 표기하면 됩니다. 반면, -인준년월- 은 본인의 논문 심사가 완결된 년월을 의미합니다. 석박사 공히 2008년 12월에 심사 완료 후 교학팀에 논문을 제출하게 되므로 인준년월은 2008년 12월로 적으시면 됩니다. 2009년 6월 본심사완료자는 인준년월은 2009년 6월로 작성합니다.*인준본은 무언가요 ?
또한 교학팀 논문 제출시 인준본(원본) 1부 및 인준본 사본 4부의 총 5개의 논문 하드본을 제출하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인준본의 의미는,논문의 인준서상 심사위원들의 친필 싸인 또는 날인이 들어간 원본을 의미합니다. 인준본 사본은 위 논문의 사본입니다.
따라서, 논문 하드본 제작시 가장 쉬운 방법은 <논문을 완벽하게 탈고한 후> 하드본 제작전 논문 원고의 인준서에 싸인 및 날인을 모두 득하여 원고를 하드본으로 제작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면 1부의 인준본(원고 제본한것, 싸인 및 날인 원본)과 다수의 인준본 사본(원고 복사본, 싸인 및 날인 사본)이 제작되며, 학생은 위 1부의 인준본 및 4부의 사본을 교학팀에 제출하면 되는 것입니다. 싸인 및 날인이 되지 않은 논문은 접수를 받을 수 없으며, 또한 학생의 졸업논문은 국회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본교도서관으로 송부되어 영원히 보존되는 것이므로 신중하게 준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논문표지글씨는 금박 ? 은박 ? 어떤것으로 하지요 ?
학칙으로 정해지 있지는 않으나, 관례적으로 금박은 박사 / 은박은 석사 로 하고 있습니다.
*D-collection이라는게 뭔가요 ?
1. 관련 근거 : 교육인적자원부 대학지원국의 학위논문 DB 구축사업 추진계획(2007.2)
*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대학 내에서 생산 즉시 수집, 관리, 서비스할 수 있는 지식정보 디지털 유통체계(dCollection) 구축
2. 가톨릭대학교 dCollection 구축
1) 적용시기 및 범위
가. 적용시기 : 2007학년도 8월 졸업 예정자부터 적용
나. 적용범위 : 학위논문, 학술논문, 연구보고서 등
2) 적용방법 : 졸업 예정자가 직접 시스템에 제출하고 dCollection 담당자의 승인 후 제출확인서, 저작권동의서를 출력받아 학위논문 인쇄본과 함께 대학원 교학팀으로 제출함.
3) 사이트 주소 : http://library.cuk.ac.kr/web/pg/thesis.html (상기 사이트에서 상세 제출 방법 소개 및 제출사이트가 연계되어 있으니 상세한 열람을 바랍니다)
쉽게 설명드려서 지식정보화 시대에 맞추어 논문을 책자 및 전산자료로 보관하기 위한 것입니다. 모든 논문제출자는 D-collection을 하셔야만 논문제출이 가능하니 반드시 이를 처리하시고 제출확인서, 저작권동의서를 논문인준본과 함께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D-collection 입력시 <발행년도> 입력창이 있으며, 이는 학위수여년월와 동일하게 입력하시면 됩니다.
2009년 2월 졸업자의 경우는
<발행년도> 2008 <학위수여년월> 2009.2 로 입력처리하시기 바랍니다.
2009년 8월 졸업자의 경우는 <발행년도> 2009 <학위수여년월> 2009.8 로 입력처리하시기 바랍니다. -
A.
*어떤 경우에 보충과목 이수 대상자가 되는 것입니까?
출신 학과(전공)가 입학한 학과(전공)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박사과정은 특수대학원 출신자 포함) 수료학점과 별도로 하위과정의 전공과목을 보충과목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보충과목을 언제까지 몇 학점을 이수해야 합니까?
석사 및 석박통합과정은 최대 6학점, 박사과정은 최대 9학점으로 학과에서 결정하며, 입학 후 최초 3학기 이내에 이수하여야 합니다.
*보충과목은 어떤 과목을 수강하는 것입니까?
주임교수의 지도를 받아 학과에서 지정하는 해당과목을 수강하시면 됩니다.
*내가 보충과목 이수 대상자인지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입학 후 대상자리스트는 각 학과로 공지되며 학과를 통해 안내를 받게 됩니다.
*보충과목 수강한 성적은 총 평점평균에 산입이 되나요?
보충과목은 석사 24학점, 박사 36학점에 포함되지 않으며 이수학점의 평균평점에도 산입하지 않습니다.
-
A.
*한 학기 몇 학점까지 수강 가능합니까?
학생은 매학기 9학점까지 수강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성심대학원장은 각 과정의 수업연한 기간 중 총 2회에 한하여 학기당 3학점까지 학점초과신청을 허용할 수 있으며 수료학점이 30학점 이상인 석사과정(음악과의 교회음악전공, 심리학과의 상담 및 임상심리전공) 및 석·박사 통합과정의 경우는 매학기 3학점까지 초과수강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석사과정 학생이 박사과정 과목을 수강할 수 있나요?
박사과정 교과목 수강 허용학기는 석사 3학기부터 가능합니다.
*석사/박사과정 총 이수학점은 몇 학점입니까?
석사과정은 24학점, 박사과정은 36학점, 석·박사통합과정은 60학점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단, 학과 전공별로 이수학점이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학과자체내규를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타학과 과목 수강도 가능한가요?
지도교수와 주임교수의 승인을 얻어 석사 12학점, 박사 15학점, 석박통합 18학점 이내에서 타학과의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성적이 나쁜 과목을 학점포기하고 싶은데 가능한가요?
대학원에는 학점포기 제도는 없으나 재수강 및 매학기 수업일수 1/4선 이내에서 수강신청취소가 가능합니다.
*과목별 이수인정이나 수료를 위한 최저 성적이 얼마인지요?
전체학기 평균평점이 3.0(8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F학점은 평점평균에 반영되나요 ?
2008-1학기 성적부터 F학점이 평점평균에 반영됩니다. 단, 2007-2학기까지 학생이 F학점을 취득한 것은 평점평균에 소급하여 반영하지 않습니다.